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아그의 하루
간도참변(경신 참변) - 1920. 10~1921. 4 본문
봉오동·청산리 대첩’ 관련 희귀사진 발굴 | |
간도사료 전문가 김재홍씨, 일본 보병 75연대 사진첩 공개 독립군 살상장면 찍어 ‘전리품’처럼 일본군 제대 기념으로 | |
![]() | ![]() ![]() |
일제에 의한 강제병합 100돌인 29일을 앞두고, 항일무쟁투쟁사에서 가장 빛나는 승리였던 ‘봉오동·청산리 대첩’과 관련된 희귀 사진 수십장이 발굴됐다. 간도 사료 전문가인 김재홍씨는 27일 1920년 봉오동과 청산리 전투 당시 독립군에게 섬멸당한 일본군의 주력부대였던 함경도 나남19사단 예하 보병 75연대의 사진첩을 <한겨레>에 공개했다. 김씨는 “이 사진첩은 1920년대 보병 75연대에서 복무하던 한 일본군의 제대를 기념해 제작된 것으로, 1990년대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재미동포 언론인 맹우열씨가 그 일본인 후손에게 구입한 것”이라고 말했다. 함경북도 회령에 주둔한 보병 75연대는 1920년 6월 봉오동에 이어 10월 청산리에서 김좌진 장군의 북로군정서와 홍범도 장군의 대한독립군에게 연패한 뒤 명동촌을 비롯한 만주 일대에서 한인 수만명을 수개월에 걸쳐 보복살상한 ‘경신참변’을 주도한 부대다. 사진첩을 감수한 독립운동사연구소 이동언 박사는 “봉오동·청산리 전투를 비롯한 1920년대 항일투쟁 사료가 대부분 광복 이후 채록한 우리 독립군과 그 후손들의 증언에 바탕한 연구서 위주였다면, 이 사진첩은 적군인 일본군이 당시에 남긴 실증적인 기록이란 점에서 사료 가치가 높다”고 밝혔다. 김경애 기자 ccandori@hani.co.kr |
참조 : http://m.blog.daum.net/excaliver/16478097
'▣ 아그 ▣ 문화 소통가 > 근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운동천을 따라 서촌을 걷다 (0) | 2017.07.16 |
---|---|
서촌 (0) | 2017.07.16 |
근현대 동아시아 도시 이야기] (0) | 2017.05.18 |
항일군 3인 왜 일왕에 충성맹세 했나 (0) | 2017.05.07 |
박정희표 제왕적 대통령제를 넘어서 (0) | 2017.04.09 |